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데이터 개요
생산성 향상 모델이란?
- 농촌진흥청이 우수 생산의 스마트팜 농가를 대상으로 연구 개발한 재배시기별, 생육단계별 최적 환경설정을 도출한 모델입니다.
- 이 모델은 생육 시기별 온도, 습도, CO₂ 등의 최적 환경 조건을 수치화하여 수량증대, 품질제고, 비용절감을 위한 최적 환경 관리 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- 생산성 향상 모델을 적용하여 우리 농가가 지금 어디 수준인지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최적 환경을 적용하여 딸기 스마트팜 농가 수익의 극대화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구축까지의 과정
온실(`17 ~ `22작기) 5개년간 전국 농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품종이 설향인 딸기를 연동형 온실과 단동형 온실로 구분지어 선별, 분석한 내용을 설명합니다.
모델 데이터 현황
데이터 선정 과정
스마트팜 빅데이터에서 환경·생육·수량 등 양질의 데이터 선정하여 그 중 모델 개발용 데이터 최종 선정
최종 선정 데이터 상세
연동형 온실
67농가총 115농가
단동형 온실
48농가연동형 온실 농가 수
단동형 온실 농가 수
연동형 온실 환경제어 시스템
단동형 온실 환경제어 시스템
-
제외 농가
연간 생산량
3,000kg/10a 이하 제외 -
품종·온실유형
품종 : 설향 100%
온실유형 : 비닐온실 100% -
배지
연동형 온실
코코피트 54%, 상토, 피트모스 등 기타 46% 사용 중
단동형 온실
코코피트 52%, 상토, 피트모스 등 기타 48% 사용 중
수집 데이터 정보
스마트팜 환경정보 수집 항목
스마트팜 환경정보 수집 항목
스마트팜 빅데이터 환경정보 수집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각 구분별 측정 주기, 단위, 수집방법을 안내합니다.
| 구분 | 측정 주기 | 단위 | 수집 방법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온실온도 | 자동 | °C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온실습도 | 자동 | %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CO₂ | 자동 | ppm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자동 수집 |
| 일사량 | 자동 | J/㎠/day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감우 | 자동 | 유/무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관수 | (반)자동 | 복합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공급PH/공급EC/물공급량, 제어기 출력미터 설치량 |
| 지온 | 자동 | °C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각 항목별 측정 주기, 단위, 조사 방법을 안내합니다.
| 항목 | 측정 주기 | 단위 | 조사 방법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초장 | 1주 | ㎝ | 관부에서 가장 긴 잎의 선단까지의 길이 | |
| 엽장 | 1주 | ㎝ | 완전히 전개된 최근 3번째 잎을 대상 엽육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잎 끝부분까지 길이 | |
| 엽폭 | 1주 | 개/주 | 완전히 전개된 최근 3번째 잎을 대상으로 하며, 가장 폭이 넓은 부분 측정 | 엽장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측정 |
| 엽병장 | 1주 | ㎝ | 관부에서 초장을 측정하는 잎의 하단까지의 길이 | 엽병장=초장-엽장 |
| 엽수 | 1주 | 개 | 한 개체의 완전히 전개한 잎의 수 | 잎색이 연하거나 특별한 이상 증상 없이 잎표면이 쭈굴거리면 미전개 잎으로 판단 |
| 관부직경 | 1주 | ㎜ | 원줄기 관부에서 가장 굵은 부분의 길이 | |
| 화방출뢰기 | 수시 | 월일 | 1㎝ 이상의 화방이 40% 이상 출뢰한 시기 | 100개체 이상 출뢰 |
| 개화기일자 | 1주 | 연월일 | 온실 한 동에서 화방 출뢰기 이후 출뢰에서 꽃이 40% 이상 개화한 시기 | 모르는 경우, 농가에 확인해서 추정하여 작성 |
| 화방별 총개수 | 1주 | 개 | 해당 화방의 총 꽃 + 과실 개수 | 꽃봉오리수 + 개화수 + 적화수 + 착과수 + 적과수 + 수확수 |
| 화방별 꽃수 | 1주 | 개 | 한 화방에 달린 꽃봉오리를 포함한 전체 꽃의 수 | 흰색의 꽃봉오리가 생겨나기 시작한 시점부터 꽃으로 판단 |
| 화방별 꽃봉오리수 | 1주 | 개 | 한 화방에 달린 꽃봉오리의 수 | 작은 것도 모두 포함 |
| 화방별 개화수 | 1주 | 개 | 한 화방에 달린 개화한 꽃의 수 | 꽃봉오리 미포함 |
| 화방별 적화수 | 1주 | 개 | 한 화방에 달린 전체 개화꽃에서 제거한 꽃수 | 농가 상황에 따라 적화하지 않은 경우 0으로 기재 |
| 화방별 적과수 | 1주 | 개 | 한 화방에 달린 전체 열매에서 제거한 열매수 | 농가 상황에 따라 적과하지 않은 경우 0으로 기재 |
| 수확과중 | 1주 | g | 수확과 1개체의 무게 | 과실은 착색이 70% 이상 진행된 것을 수확하여 측정 |
| 과장 | 1주 | mm | 수확과의 길이 | 수확과의 길이가 가장 긴 부분 측정 |
| 과폭 | 1주 | mm | 수확과의 폭 | 수확과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 측정 |
| 당도 | 1주 | Brix | 과장, 과폭을 측정한 개체의 당도 | |
| 산도 | 1주 | pH | 과장, 과폭을 측정한 개체의 산도 | 증류수 49g과 착즙된 과즙 1g을 잘 섞은 후 측정부에 넣어 측정 |
출처 | 농촌진흥청 현장 데이터 수집을 위한 주요 시설채소 생육조사 매뉴얼
주요 시설채소 생육조사 매뉴얼 바로가기분석결과 요약
딸기 농가 115곳의 온실(`17 ~ `22작기) 5개년간 스마트팜 빅데이터 분석 결과
연동형 온실과 단동형 온실은 상위 20% 농가와 하위 20% 농가 간 각각 약 2.1배, 1.9배 생산량 차이가 나타났으며,
특히 가격이 높은 겨울철에는 생산량이 우수농가가 일반농가보다 연동형 온실이 1.6배, 단동형 온실이 1.5배 높았습니다.
연간 생산량 차이
단위 : kg/10a
| 구분 | 평균 (농가 수) | 상위 10% (농가 수) | 상위 20% (농가 수) | 하위 20% (농가 수) |
|---|---|---|---|---|
| 연동형 온실 | 5,050 (88) | 8,533 (8) | 7,350 (17) | 3,427 (17) |
| 단동형 온실 | 4,566 (71) | 7,287 (7) | 6,156 (15) | 3,220 (15) |
연동형 온실 연평균 생산량
5,050kg/10a => (상위 20% 농가) : 7,350kg/10a
단동형 온실 연평균 생산량
4,566kg/10a => (상위 20% 농가) : 6,156kg/10a
우수 농가 비교 서비스
생산량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재배유형 :
농가 생산량
| 생산량(kg/10a) |
|---|
환경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재배유형 :
월별 온도 변화 그래프
| 구분 |
|---|
월별 주간습도 변화 그래프
| 구분 |
|---|
월별 CO₂ 변화 그래프
| 구분 |
|---|
관수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시설유형 :
월별 환경 변화 (1회 급액량과 급액EC)
| 구분 |
|---|
생육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재배유형 :
월별 관부직경 그래프
| 구분 |
|---|
월별 생장길이 그래프
| 구분 |
|---|
담당자
스마트농업팀
063-238-086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