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데이터 개요
생산성 향상 모델이란?
- 농촌진흥청이 우수 생산의 스마트팜 농가를 대상으로 연구 개발한 재배시기별, 생육단계별 최적 환경설정을 도출한 모델입니다.
- 이 모델은 생육 시기별 온도, 습도, CO₂ 등의 최적 환경 조건을 수치화하여 수량증대, 품질제고, 비용절감을 위한 최적 환경 관리 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- 생산성 향상 모델을 적용하여 우리 농가가 지금 어디 수준인지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최적 환경을 적용하여 파프리카 스마트팜 농가 수익의 극대화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구축까지의 과정
온실(`17 ~ `22작기) 5개년간 전국 농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여름작형과 겨울작형으로 구분지어 선별, 분석한 내용을 설명합니다.
모델 데이터 현황
데이터 선정 과정
스마트팜 빅데이터에서 환경·생육·수량 등 양질의 데이터 선정하여 그 중 모델 개발용 데이터 최종 선정
최종 선정 데이터 상세
여름작형
59농가총 107농가
겨울작형
48농가여름작형 농가 수
겨울작형 농가 수
여름작형 온실 유형
겨울작형 온실 유형
여름작형 품종 유형
겨울작형 품종 유형
* 파프리카 농가는 한 농가에서 2가지 이상의 품종을 재배함
여름작형 환경제어 시스템
겨울작형 환경제어 시스템
-
계절별 농가 분포
여름작형
강원
겨울작형
전남·경남
-
수확시기
여름작형
1~2월 정식, 12월 초까지 수확
겨울작형
8월 중하순에 정식, 이듬해 8월까지 수확
-
배지
여름작형
코코피트 90%
겨울작형
코코피트 52%
수집 데이터 정보
스마트팜 환경정보 수집 항목
스마트팜 환경정보 수집 항목
스마트팜 빅데이터 환경정보 수집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각 구분별 측정 주기, 단위, 수집방법을 안내합니다.
| 구분 | 측정 주기 | 단위 | 수집 방법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내부온도 | 자동 | °C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내부습도 | 자동 | %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잔존 CO₂ | 자동 | ppm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자동 수집 |
| 일사량 | 자동 | J/㎠/day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감우 | 자동 | 유/무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| 관수 | (반)자동 | 복합 | 복합환경제어 프로그램 자동 수집 (공급pH/공급EC/물공급량, 제어기 종류마다 상이함) | 데이터센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 |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
스마트팜 생육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각 항목별 측정 주기, 단위, 조사 방법을 안내합니다.
| 항목 | 측정 주기 | 단위 | 조사 방법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초장 | 1주 | ㎝ | 지표면에서 생장점까지 길이 | |
| 생장길이 | 1주 | ㎝ | 지난주 생장점에서 금주 생장점까지 길이 | |
| 엽수 | 1주 | 개 | 개화 화방 기준 아래 완전 전개된 엽수 | |
| 엽장 | 1주 | ㎝ | 착과된 파프리카의 바로 위 엽장 혹은 맨 위에 개화 화방에서 3번째 아래 있는 길이 | |
| 엽폭 | 1주 | ㎝ | 착과된 파프리카의 바로 위 엽장 혹은 맨 위에 개화 화방에서 3번째 아래 있는 폭 | |
| 줄기굵기 | 1주 | ㎝ | 개화화방(생장점 첫 화방) 바로 아래의 줄기 굵기 | 낙화된 경우 낙화위치를 추정하여 측정 |
| 화방높이 | 1주 | mm | 생장점에서 개화화방까지의 거리 | 낙화된 경우 낙화위치를 추정하여 측정 |
| 개화마디 | 1주 | 마디 | 현재 꽃이 피는 마디(꽃봉오리 포함) | - 방아다리: 한 줄기가 두 줄기로 갈라지는 지점 (마디 0으로 계산) - 꽃봉오리만 피어있는 마디도 개화마디로 보고 조사 - 마디 조사: 방아다리 위에 마디가 첫번째 마디 - 10번째 마디마다 테이핑 |
| 착과마디 | 1주 | 마디 | 착과되는 마디 | 5cm 미만의 열매가 보이면(씨방이 보이면) 착과로 간주 |
| 열매마디 | 1주 | 마디 | 5cm 이상 열매가 달려있는 마디 | |
| 수확마디 | 1주 | 마디 | 파프리카를 수확한 마디 | |
| 마디별 꽃수 | 1주 | 개 | 마디별 화방에 달린 꽃봉오리를 포함한 전체 꽃의 수 |
|
| 마디별 착과수 | 1주 | 개 | 마디별 화방의 착과에서 수정된 상태의 개수 | 씨방이 보이거나 5cm 미만의 열매 |
| 마디별 열매수 | 1주 | 개 | 마디별 5cm 이상의 열매가 달려 있는 개수 | 착과는 제외 |
| 마디별 수확수 | 1주 | 개 | 마디별 수확한 열매의 개수 | 열매수와 수확수는 두 번 세지 않음, 개체에 남아 있는 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 |
| 수확과중 | 1주 | g | 수확한 파프리카의 과중 | |
| 과고 | 1주 | mm | 수확한 파프리카의 높이(조사하는 것 전부) | 가장 높은 부분 측정 |
| 과폭 | 1주 | mm | 수확한 파프리카의 과폭(조사하는 것 전부) | 가장 넓은 부분 측정 |
출처 | 농촌진흥청 현장 데이터 수집을 위한 주요 시설채소 생육조사 매뉴얼
주요 시설채소 생육조사 매뉴얼 바로가기분석결과 요약
파프리카 농가 107곳의 온실(`17 ~ `22작기) 5개년간 스마트팜 빅데이터 분석 결과
여름작형의 경우 여름철(장마 및 고온기)의 적합한 환경관리 및 안정적인 착과 유도로 평균 48.1kg, 우수 농가 63.4kg의 생산량을 기록했으며,
겨울작형은 일사량이 낮은 겨울철의 안정적인 개화 및 착과로 평균 45.7kg, 우수 농가 69.1kg의 생산량을 기록했습니다.
평균 생산량은 여름작형이 겨울작형보다 2.4kg 높았고, 우수 농가 기준으로는 겨울작형이 여름작형 대비 5.7kg 더 높았습니다.
평균 생산량은 여름작형이 겨울작형보다 2.4kg 높았고, 우수 농가 기준으로는 겨울작형이 여름작형 대비 5.7kg 더 높았습니다.
월별 생산량 비교
단위 : kg/3.3㎡
| 생산량(kg/3.3㎡) | 1월 | 2월 | 3월 | 4월 | 5월 | 6월 | 7월 | 8월 | 9월 | 10월 | 11월 | 12월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평창(여름작형) | - | - | 2.2 | 6.4 | 9.3 | 7.9 | 10.6 | 10.5 | 6.4 | 8.4 | 5.1 | 3.5 |
| 남부(겨울작형) | 9.1 | 8.2 | 11.4 | 13.2 | 15.8 | 10.8 | 7.2 | 3.3 | 3.8 | 6.6 | 10.2 | 10 |
여름작형 연평균 생산량(평창 기준)
평균 48.1kg, 우수 농가 63.4kg
겨울작형 연평균 생산량
평균 45.7kg, 우수 농가 69.1kg
우수 농가 비교 서비스
생산량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시설유형 :
농가 생산량(철원)
| 생산량(kg/3.3㎡) |
|---|
농가 생산량(평창)
| 생산량(kg/3.3㎡) |
|---|
환경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시설유형 :
월별 온도 변화 그래프(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주간습도 변화 그래프(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CO₂ 변화 그래프(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온도 변화 그래프(평창)
| 구분 |
|---|
월별 주간습도 변화 그래프(평창)
| 구분 |
|---|
월별 CO₂ 변화 그래프(평창)
| 구분 |
|---|
관수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시설유형 :
월별 환경 변화 (1일 급액량, 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환경 변화 (1일 급액량, 평창)
| 구분 |
|---|
생육정보
우수 농가와 일반 농가의 환경 및 생육 설정 비교표 입니다.
시설유형 :
월별 생장길이 그래프(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줄기굵기 그래프(철원)
| 구분 |
|---|
월별 생장길이 그래프(평창)
| 구분 |
|---|
월별 줄기굵기 그래프(평창)
| 구분 |
|---|
담당자
스마트농업팀
063-238-0864